본문 바로가기

HooNE 의 IT 경험담/Nexus5 & Nexus7

[Nexus7] Nexus7 (2013) 롤리팝 커스텀롬 Slim롬 설치기

뉴 넥서스 7의 롤리팝 5.0.2 버전이 나오면서 CM12에서 다시 순정으로 넘어갔었습니다.

그러나 다른 롬을 한번 사용해보고 싶어서 구글레퍼런스포럼 카페를 찾아보니





CM롬과 slim롬의 자료가 가장 활발하게 올라오는데, CM롬은 예전에 설치해봤던 경험도 있고 그 당시에는 배터리 기타 버그가 존재해서

이번엔 slim 롬을 설치해보기로 했습니다.


slim롬이긴 하나 slim롬에서 개인들이 따로 기능을 추가하거나 한 롬인것 같았습니다.


XDA 포럼의 Yank555 라는 개발자가 만든 롬입니다.

<출처 : http://forum.xda-developers.com/showpost.php?p=55121807&postcount=14 >


제가 설치한 버전은  Slim-flo-5.0.2.alpha.1.0-UNOFFICIAL-20150224-2308  이고, 다운 경로는 http://d-h.st/D08 입니다.  

그리고 이 롬은 갭스(GAPPS) - 구글 기본 어플들  이 깔려있지 않은 버전이기 때문에, 따로 다운을 받아주어야 합니다.

(http://forum.xda-developers.com/slimroms/general/gapps-official-slim-gapps-trds-slimkat-t2792842)


롬과 갭스를 다운받은 뒤에는


무조건 백업을 하고나서 (어플 or 미디어 자료들)


레퍼런스 기기들은 백업을 NRT로 하는 것이 편리한데

NRT를 받아 설치하고 기기를 연결해서 개발자모드에 들어가 USB 디버그를 켜게 되면 사용가능합니다.


아래에서 백업을 누르고 동그라미 친 부분을 눌러 확인을 클릭하면, 기기가 재부팅이 된 후에 연결을 확인하고 백업을 시작합니다.






그렇게 되면 컴퓨터에 기기의 어플들의 자료가 백업이 됩니다.

(모든 어플이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중요한 어플들은 티타늄백업으로 다시 한번 백업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백업을 한 뒤에는 리커버리모드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wipe에 들어가서 공장초기화(Factory Reset) 을 한 뒤에,

Install로 들어가서 롬과 갭스를 설치해줍니다.



<공장초기화 과정>



<슬림 롬 파일 선택>


<추가 설치 파일 선택>


<GAPPS 선택>


설치를 다 하고 난 뒤에는 Reboot system을 눌러 재부팅을 해주면 됩니다.


그럼 아래 동영상처럼 부팅애니메이션이 돌아가게 되고, 첫 부팅에선 좀 오랜시간이 소요되니다.



부팅이 완료되면, 핸드폰을 처음 샀을 때 처럼 설정하는 메뉴들이 나옵니다.

언어, Wifi , 구글로그인 등을 끝내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그러나 루팅은 되어있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NRT에 들어가서 ROOT를 눌러주고 확인을 누르면 알아서 진행이 됩니다.

(편의를 위해 아래 Custom Recovery를 클릭하는 것을 잊지 마세요. TWRP 리커버리를 설치해줍니다.)


설정을 완료하면 런쳐를 선택하게 되는데, Slim롬은 전용런쳐가 존재하네요.

그걸 선택해서 들어가보게 되면,



다음과 같은 런쳐가 작동합니다.

구글나우런쳐와 좀 비슷해보이는 런쳐네요.




상태바를 내리면 별반 다를게 없는데, 간혹 한글이 지원이 안되는 메뉴가 존재하는 듯 합니다.



한번 설정으로 들어가보겠습니다!

별 다를게 없지만,

Personalization이라고 해서 새로운 메뉴가 하나가 추가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시스템 메뉴에는 SuperSu가 메뉴버튼으로 추가가 되었네요. 단, 루팅이 되어있지 않으면 작동이 되질 않아요.





인터페이스 메뉴에 들어가면

퀵 세팅과 상태바 메뉴가 있는데, 퀵 세팅은 상태바의 퀵 토글들을 수정할 수 있는 메뉴에요.


Enlarge first row  :  첫번째 줄의 아이콘을 크게 한다. (순정에서의 와이파이 , 블루투스 메뉴 같은 것을 말합니다.)

Advanced location quick settings : 위치를 누르면 상태바 내에서 기기전용,배터리절약,정확도 를 고를 수 있는 메뉴에요.




Quick pulldown : 상태바를 완전히 내리는데 2단계가 필요한데, 이 메뉴를 통해 좌 or 우 에서 상태바를 내릴때 한번에 내려갈수 있도록 하는 메뉴입니다.




상태바에서는, 말 그대로 상태바 설정이네요.

배터리 표시 방법, 날짜 표시방법 등을 설정하는 곳입니다.

설정을 통해 위에 시계처럼 중앙에 날짜 요일 시간 등이 전부 나오게 설정도 가능하네요!



Custom java format 에 들어가서


YY : 연

MM : 월

DD : 일

EEE : 요일


이므로 본인이 원하는대로 설정 가능합니다.





태블릿 정보에 들어가보게 되면, 위와 같이 롬 정보와 커널 정보 등등이 나오고 CPU 와 램 용량도 보여주네요~



개발자 옵션에 들어가면 추가된 메뉴들이 있는데 Fast Kill App(뒤로가기를 오래 눌러 어플을 바로 종료) 에요.



디스플레이 에서는 DPI도 설정이 가능하고 볼륨 버튼으로 화면 켜기등의 메뉴가 있네요.


DPI는 화면 밀도를 생각하면 되는데 , DPI가 작을수록 화면이 좀 더 넓어보인달까요..

전체적으로 작게 표현이 됩니다. 아이콘도 좀 작아지고 글자도 좀 작아지고. 






보안에서는 Privacy Guard 와 App ops(앱운영)이 있네요.

어플마다 권한을 제한할 수 있는 기능이에요.





아직 제대로 사용해보진 않았으나, 기능은 다양하게 존재하네요.

단점이라면 새로 추가된 기능들이 원래 메뉴 안에 숨어있어, 처음 쓸 때엔 쉽게 찾기 못하겠어요..